일. 4월 2nd, 2023

미니디젤차량 dpf막힘으로 dpf건식클리닝

요즘 디젤승용차량들의 운전자분들은 dpf의 역할을 모른체 운행이 많습니다. 유로4,유로5부터 매연저감을 위한 필터가 장착되어 출고가 되었고 유로6가 현재출고되고 질소산화물(nox)까지 잡기위해서 요소수를 이용해서 scr이란 담채가 dpf후단에 장착되어 출고되고 있습니다. 대기질 환경을 개선하는 자동차 생산업체에서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데 자동차 판매자들은 이를 설명해주고 있는지? 아니면 소비자가 딜러의 말을 무시해서 잃고 있는지는 모르나 현재 dpf클리닝에 대한 관심이 서서히 일고 있고, 어떻게 하면 안전한 관리를 해야하는지 궁금해 합니다.

dpf는 매연필터라고 보시면 되고 매연이 많이 쌓이게 되면 청소를 해서 사용하면 되는데 통계적 적산거리는 10만km 전 후 입니다. 이를 거기고 주행 하면 계기판에 dpf체크불 점등과 함께 페일을 걸어 버립니다. 자동차 엔진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한 페일모드라 생각 하시면 됩니다. 그렇다면 청소는 어떤 망법으로 해야 하는지?

미국MECA보고서(물청소 금지 내용)를 보면 DPF세라믹 담체를 고정하는 물질(MET)이 물에 노출시 훼손될 수 있으므로 물청소는 절대 하지 말아야 한다.담채고정물질의 파손은 DPF의 영구적 손상을 가져올수 있다. 물 청소는 담체에 코팅된 촉매물질(백금류)의 파손도 가져올 수 있다.

위 이론에 의거 건식클리닝 장비가 개발되어 있지만 다소 금액이 비싸다는 이유때문에 물청소가 주류를 이룰 수 있는 이유이기도 함. 미래를 위하고 폐수라는 단적인면과 물 청소로 인한 촉매의 소손으로 DPF의 주기적 재생을 불가하게하고, 결국 자주 막히고 파손으로 신품 교체가 요구된다면 차주의 입장에서는 상당한 정비금액이 부가될 수 있으므로, DPF의 청소에 정확한 정보를 공유해야 함.

미니 DPF건식클리닝

자동차 기능장 서비스 JINSUNG MOTORS